한국지방재정공제회(LOFA), ‘인공지능기반 현수막탐지 기술개발 실증사업 보고회’ 개최


마크애니, 자치단체 지능형 관제시스템 구축, AI 엔진 탑재 서버 공급&실증 지원에 도움 


‘인공지능(AI) 불법 현수막 탐지 기술’ 개발
자치단체 스마트행정 도입에 기여


인공지능(AI) 기반 현수막 탐지 기술 개발 실증사업 추진체계.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제공]


한국지방재정공제회(이하 재정공제회)가 ‘인공지능(AI) 불법 현수막 탐지 기술’ 개발로 자치단체 스마트행정 도입에 기여한다.
재정공제회는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인공지능(AI) 기반 현수막 탐지 기술개발 실증사업(이하 실증사업)’ 결과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재정공제회는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공공 CCTV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불법 현수막을 탐지하는 기술을 실제 자치단체 행정업무에 적용해 검증했다.

실증사업 결과 공공 CCTV를 통한 인공지능의 현수막 검출성능은 약 97% 수준으로, 문자 인식성능은 약 82% 수준(현수막 내 문자의 80% 이상 인식 기준)으로 나타났다. 또 현수막 내용에 따라 정당 현수막, 공공 현수막, 민간 현수막으로 분류도 가능했다.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자치단체가 불법 현수막을 적시에 탐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행정 체계 구축의 기반이 마련됐다.

이인재 이사장은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난립하는 불법 현수막을 효율적으로 정비하고 시민의 안전에도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옥외광고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회원사인 자치단체의 스마트행정 도입을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재정공제회는 실증사업을 위해 지난해 12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경북 경산시, 경남 사천시와 함께 상호협력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현수막 탐지 기술 프로세스.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제공]


재정공제회는 실증사업 총괄로 자치단체 예산 및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를 지원하고, ETRI는 현수막 탐지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으며, 실증사업 대상지인 경북 경산시와 경남 사천시는 해당기술을 현수막 정비업무에 적용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위한 학습데이터 구축은 ㈜스마트뱅크, 자치단체 지능형 관제시스템 구축은 ㈜마크애니가 수행했다.

그동안 스쿨존,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 무분별하게 설치된 불법 현수막은 도시미관 저해는 물론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불편민원을 자주 발생시켜왔다. 그러나 자치단체에서는 인력과 예산부족으로 현수막 설치현황을 파악하고 대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현수막 제거를 위한 수거보상제, 정비용역 등 국가지원과 자치단체 소요예산이 매년 증가하는 상황이다.

이에 해당 기술은 도심에 무분별하게 난립하는 현수막을 탐지하고 현수막의 내용을 인식함으로써 자치단체의 불법 현수막 대응관련업무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불법 현수막을 정비하는 예산과 행정력을 절감하는 동시에 불법 현수막을 적시에 처리해 시민생활안전 및 도시미관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출처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http://www.jeonmae.co.kr)



Social Media Links

솔루션 소개

둘러보기

마크애니

고객지원


(주)마크애니  서울시 중구 퇴계로 286 쌍림빌딩 13층  

(+82) 02-2262-5222ㅣ contact@markany.com  

업자 등록번호 : 101-81-47345

Copyright © 2024. MarkAny. All Rights Reserved.

솔루션 소개

둘러보기

고객지원

Copyright © 2024. MarkAny. All Rights Reserved.